어른들은 아이와의 관계에서 다분히 자기중심적이며 자신들의 가치 기준으로 아이의 마음을 판단하려 합니다. 아이가 이에 불만을 가지면 어른들은 잘 알아보려 하지 않고, 독립된 생활을 원하는 아이의 시도를 불순종이나 나쁜 짓으로 몰아붙입니다.
그래서인지 자녀의 교육에 있어서도 부모들은 아이의 오류에 대해 훈계와 경고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 단순히 어른이라는 이유로 부모들은 자녀에게 순종을 요구합니다.
자녀들이 조금씩 그런 부모에게 불만을 갖기 시작하면 상호 간의 사랑과 신뢰는 금이 가게 마련입니다. 이후 부모는 자녀에 대한 몰이해로 인해 자녀를 압박하려 하며, 자녀는 어른을 향한 저항과 도피 욕구를 갖게 됩니다. 양자 사이에는 점차 갈등이 심해지고 교육의 방향은 빗나가기 시작합니다.
사실 부모와 자녀의 갈등은 아이들이 스스로 일을 할 수 있는 시기에 시작됩니다. 처음에는 아이들 세계의 감각적 탐구, 즉 아이들이 보고 듣고 만지는 것을 막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부모들은 아무리 자녀를 사랑한다 해도 아이들이 자신들을 방어하려는 본능을 보이기 시작하면 아이들의 행동에 통제를 가하려고 합니다. 자녀를 사랑하기 때문에 보호한다는 이유를 들면서 말입니다.
그러므로 부모는 자녀에게 최초의 적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이 성장 과정에 있다는 사실을 부모들이 인정하고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해와 관심이 없는 부모의 교육은 자녀에게서 순응이나 흡수를 끌어낼 수 없습니다.
몬테소리 교육은 자녀를 교유하는 부모가 유의할 점을 다음 세 가지로 설명했습니다.
인류의 발전은 아이들을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아이들이 사회에서 올바른 위치를 확립하도록 돕는 일이 부모의 가장 큰 역할이라고 몬테소리 교유에서는 강조합니다. 즉 몬테소리 교유에서 강조하는 부모의 역할은, 모든 아이들 안에 있는 '내부 지침'을 아이들에게 일깨워 주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부모들은, 어른도 아이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 아울러 아이들을 관찰하고 받아들이는 능력을 개발해야 합니다.
아이가 부주의로 집안의 집안의 물건을 망가뜨렸을 때 '축하'의 말을 건네는 민족은 유태인이 유일할 것입니다. 그들은 야단부터 쳐서 아이를 주눅 들게 만드는 일이 없습니다. 오히려 아이를 다독이면서 대화를 나눕니다. 그럼으로써 아이가 좋은 경험과 교훈을 배웠음을 깨닫게 합니다.
이처럼 교육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의 모든 문제를 대화로 풀어 가는 민족이 바로 유태 민족입니다. 그들은 자녀가 말을 하기 시작할 때부터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며 대화를 나눌 정도입니다. 아이들은 서로의 사랑과 감정을 전할 수 있는 대화야말로 영어 단어나 수학 공식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유태인들은 또한 자녀에게 '안 된다'는 말을 극히 자제합니다. 대신에 잘한 것을 발견했을 대 칭찬을 아끼지 않습니다. 이는 아이에게 자긍심과 자신감을 심어 주기 위함입니다.
이 외에도 자녀 교육을 위한 유태인 부모들의 노력은 많이 있습니다.
검소함과 절약 정신을 생활화하게끔 가르친다.
어릴 때부터 주체성과 민족정신을 심어 준다
무엇보다 자녀에게 먼저 배움에 대한 즐거움을 가르친다.
매주 토요일마다 자녀들의 그 주 학습 내용을 점검, 지도한다.
형제는 다른 개성과 인격을 지니도록 가르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등학생 자녀의 긍정적 가치관 형성을 위한 소통 - '믿고' '지지하는' 부모의 울타리 자녀 내면의 긍정을 키운다. (0) | 2023.02.23 |
---|---|
고등학교 입학, 첫 1년 '나만의 교육 과정' 만들고 공부 계획 세우기 (0) | 2023.02.10 |
현대 교육에서 차지하는 몬테소리 교육의 의미와 몬테소리 아동관 (0) | 2023.02.08 |
에릭슨 놀이이론 (0) | 2023.01.11 |
조지 하버트 미드 이론 (0) | 2023.0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