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이중심교과과정3

에릭슨 놀이이론 에릭슨 : 아동기 내적 세계에서의 놀이와 숙달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의 유아의 정서 발달에서 놀이의 종요성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술했다. 에릭슨은 이론상의 지향을 명명할 때 개인의 내적 심리 상태가 사회적 맥락에서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하기 위해 '심리'와 '사회'를 결합했다. 심리사회 이론(psychosocial theory)은 여러 가지 이유로 유아교육의 실제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교사는 아동의 정서적 · 사회적 복지 지원에 대해 고려한다. 교사는 아동의 정신건강을 증진해 보려는 노력으로 심리사회 이론에 의지했다. 에릭슨은 영아에서부터 나이가 들 때까지 건강한 인성의 발달을 기술했다. 수많은 글에서 에릭슨은 아동의 사회적 · 정서적 발달이 아동의 가족, 학교, 아동이 살고 있는 문화적 맥.. 2023. 1. 11.
조지 하버트 미드 이론 미드: 놀이와 자기 감각 발달 모든 유아기 환경에서 교사들은 아동의 자기 감각 발달을 지원하고 이해하고자 시도한다. 조지 하버트 미드(George Herbertt Mead, 1934)는 정신, 자기, 사회(Mind, self, and Society)에서 놀이와 안정적인 자기감각 발달의 관계에 대해 기술했다. 미드에게 놀이는 유아가 사회적 세계에서 타인의 관점으로부터 자신의 관점을 구별하는 것을 배우는 주요 수단이다. 아동은 다른 사람의 역할을 흉내 내고, 이러한 역할을 놀이친구가 맡은 역할과 조율하고, 타인의 관점에서 자신의 행동을 볼 수 있게 된다. 로버트는 레스토랑에서 웨이터 역할을 하고 있다. 로버트는 고객이 주문할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물어보면서 '고객'의 관점을 통합한다. 그런 다음 부엌으로 가.. 2023. 1. 11.
비고츠키 레프 비고츠키(Lev Vygotsky)는 구성주의 이론가로 발달과 학습이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방식에 주로 관심이 있었다. 비고츠키의 대표적 저서의 제목인 사회에서의 마음(Mind in Society)에서도 알 수 있듯 마음은 사회적 · 문화적 · 역사적 맥락에서 분리되어 고려되거나 논의될 수 없다. 근접발달영역 비고츠키는 아동의 이해가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발전한다는 맥락에서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비고츠키는 이 영역을 생성시키는 사회적 · 인지적 협력에 참여할 때 아동이 평소 기능 수준을 뛰어넘는 수행을 하게 된다고 기술했다. 비고츠키는 놀이가 발달에 필수적이며, 사실상 발달의 근원이라고.. 2023. 1. 10.